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 상식] 트럼프 관세정책이 촉발한 주가 폭락과 과거 사례

by ETF in Peace 2025. 4. 5.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주가가 대폭락했습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예상은 할 수 있겠지만 아무도 정확하게 예측할수는 없겠죠. 복습을 한번 해보고자 합니다. 과거 폭락 사건과 회복 사례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명심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주가차트를 의미하는 이미지

트럼프 관세정책과 최근 주가 대폭락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때문에 전 세계 주식 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어요. 2025년 4월 3일, 트럼프는 '해방의 날' 관세정책을 발표하며 주요 교역국(캐나다, 멕시코, 중국, EU 등)에 10%에서 50%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했어요. 이로 인해 미국 주식 시장은 큰 타격을 입었죠. S&P 500은 4.8%, 나스닥은 5.97%, 다우지수는 3.9% 하락하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어요. S&P 500만 해도 2조 5천억 달러(약 3,200조 원)가 증발하며, 2월 19일 최고점 대비 12% 하락했습니다. 이 폭락의 원인은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예요. 관세가 물가를 올려 소비자 부담을 증가시키고, 기업들의 공급망에 혼란을 초래했어요. 예를 들어, Apple과 Nvidia 같은 기술주는 하루 만에 4,700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어요. 또한, 글로벌 보복 관세(캐나다의 25% 자동차 관세, 중국의 10~15% 농산물 관세)로 무역 전쟁이 격화되며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어요. 초보자분들은 이런 대폭락이 단순한 주가 하락이 아니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큰 사건이라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과거 주가 폭락 사건과 회복 사례

자 그러면 과거 주식 시장의 폭락 사건들과 회복 과정과 이유를 알아볼게요. 여기서는 요약해서 알아보고 각각의 사건들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조금씩 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 1929년 대공황 (Wall Street Crash)
    1929년 10월, S&P 500은 3주 만에 50% 하락하며 대공황이 시작됐어요. 과도한 투기와 신용 거래가 원인이었죠. 회복에는 약 25년이 걸렸어요(1954년 최고점 회복). 회복 이유는 정부의 뉴딜 정책,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였어요. 하지만 당시 금융 시스템이 지금처럼 발전하지 않아 회복이 더뎠어요.
  • 1987년 블랙 먼데이 (Black Monday)
    1987년 10월 19일, S&P 500은 하루 만에 23% 하락했어요. 프로그램 매매와 시장 과열이 원인이었죠. 회복은 약 2년 걸렸어요(1989년 10월). 빠른 회복의 이유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 투자자들의 신속한 매수세였어요.
  • 2008년 금융위기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S&P 500은 56% 하락했어요(2007년 10월~2009년 3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원인이었죠. 회복에는 약 5년 걸렸어요(2013년 3월). 회복 이유는 정부의 대규모 구제 금융, 양적 완화 정책, 저금리로 인한 기업 실적 개선이었어요.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S&P 500은 34% 하락했어요. 글로벌 봉쇄와 경제 활동 중단이 원인이었죠. 회복은 놀랍게도 5개월 만에 이루어졌어요(2020년 8월). Fed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 정부의 재정 지원, 백신 개발 기대감이 회복을 앞당겼어요.

과거 사례를 보면, 폭락 후 회복 시간은 경제 상황, 정부 정책, 투자 심리에 따라 달라져요. 초보자분들은 이런 역사적 사례를 통해 주가 폭락이 영구적이지 않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특히 지금처럼 정말 특수한 이벤트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은 더욱 그러하겠죠.

 

일반 투자자들을 위한 대응법과 팁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주가 대폭락에 일반 투자자분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현실적인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감정적인 매도는 피하세요. 주가가 폭락하면 공포에 휩싸여 팔고 싶어지지만, 이는 손실을 확정하는 행동이에요. 과거 사례를 보면, 시장은 결국 회복했어요. 예를 들어, 2020년 코로나19 폭락 후 S&P 500은 5개월 만에 반등했죠.

둘째, 현금 보유를 유지하세요. 시장이 하락할 때 현금이 있다면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생겨요. 워렌 버핏은 2024년 134억 달러어치 주식을 매도하며 현금을 확보했는데, 이런 전략이 폭락장에서 유용해요.

셋째,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세요. 폭락장에서는 금이나 국채 같은 안전자산이 주목받아요. 금 가격은 온스당 $3,167.50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할 수 있습니다. SPDR Gold Shares(GLD) 같은 ETF를 고려해보세요.

넷째, ETF로 분산 투자하세요. 개별 주식보다 S&P 500 ETF(SPY)나 나스닥 ETF(QQQ) 같은 지수 ETF에 투자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요.

다섯째,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세요. 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동이 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해왔어요. 예를 들어, S&P 500은 2008년 금융위기 후 5년 만에 회복했죠.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주가가 대폭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이 매우 커졌습니다. 공포지수가 이를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폭락 사례를 보면, 시장은 정부 정책과 투자 심리 회복으로 항상 반등했습니다. 쉽지 않겠지만 감정을 관리하고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